이얼록
미국 ATACMS 미사일 우크라이나 사용 가능, 우크라이나 전쟁의 새로운 국면 본문
미국 ATACMS 미사일 우크라이나 사용 가능, 우크라이나 전쟁의 새로운 국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하여 큰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동안 보류되었던 ATACMS(에이태큼스) 미사일 사용 제한을 해제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층 격화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이 전쟁의 전환점이 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미사일 요구, 결실을 맺다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오랫동안 미국에 ATACMS 미사일 지원을 요청해왔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바이든 대통령이 이를 허용하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사일이 스스로 말해줄 것"이라며 신중하지만 강력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이 미사일의 주요 타깃은 러시아와 협력 중인 북한군 병력 밀집 지역, 군사 장비, 물류 거점 등으로,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를 통해 전세를 뒤바꾸는 승기를 잡으려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즉각 반발
바이든의 결정에 러시아의 반응도 즉각 나왔습니다. 러시아 하원에서는 “제3차 세계대전 시작을 향한 큰 발걸음”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강력하게 반발하며, 러시아가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미 지난 9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토를 공격할 경우 이를 전면전으로 간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바이든의 ATACMS 허용은 사실상 이 경고에 정면으로 맞서게 되는 셈입니다.
ATACMS 미사일, 그 위력은?
ATACMS는 사거리 300km, 최대 속도 마하 3을 자랑하는 미군의 비장의 카드입니다. 집속탄두를 탑재할 수 있어 대규모 살상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미사일이 전쟁에서 활용된다면 매우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크라이나가 이미 무인 드론으로 러시아의 타깃을 공격한 바 있지만, 이번 미사일 투입으로 러시아는 더 강력한 부담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미국의 전략적 고민과 러시아-북한 공조
이번 미사일 사용 허용 배경에는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을 시행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은 이를 두고 볼 수 없었고, 결국 미사일 사용 제한을 폐지함으로써 북한에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입니다. 북한에 추가 파병을 하지 말라는 일종의 경고 행동인 셈입니다. 그러나 ATACMS만으로 전쟁 판세를 근본적으로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미사일 제공 수량이 제한적이며, 이미 우크라이나는 드론을 통한 공격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럽의 동참 가능성
미국의 뒤를 따라 유럽 국가들이 유사한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미 “스톰섀도” 및 “스칼프 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상태입니다. 이들 역시 러시아 공격용으로 사용을 금지한 상황이지만, 미국처럼 이를 해제하게 된다면 러시아는 더 큰 압박과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집합 효과”라고 불리는 이 현상이 일어난다면, 러시아에 큰 전략적 부담을 안길 수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의 마지막 카드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는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에 ATACMS 허용이 바이든 행정부의 마지막 큰 결단으로 여겨집니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는 이번 결정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바이든 대통령이 제3차 세계대전을 원한다”고 날카롭게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주니어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을 지지하며, 바이든 행정부의 결정에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끝나지 않은 우크라이나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은 여전히 혼란 속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의 미사일 지원 결정이 전쟁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바이든 행정부의 이번 결정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것입니다.
-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재선 후폭풍: '트럼프 트레이드' 내년까지 계속될까? (1) | 2024.11.19 |
---|---|
미국 대선 이후 주식·코인 시장 폭등! 지금 투자, 기회일까 리스크일까? (0) | 2024.11.19 |
서학개미들이 집중 매수한 테슬라와 팔란티어, 추가 상승 가능할까? (0) | 2024.11.19 |
CJ그룹 바이오 사업 매각, 슈완스 인수 성공 신화 재현을 위한 큰 그림? (0) | 2024.11.18 |
"미국 대선 이후 주식·코인 시장 폭등! 지금 투자, 기회일까 리스크일까?" (1) | 2024.11.18 |